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인의밥상 의성 황토 메기 매운탕 택배 주문 724회 땅의 기운을 품다 황토의 맛 회차정보 재방송

by 그냥4람 2025. 10. 16.
반응형

도시에서는 보기 힘든, 자연의 색 그대로 살아 있는 황토와 맑은 물. 의성군 외정리의 황토 양어장은 오랜 세월을 버텨온 아버지의 손길과 그 꿈을 이어가는 아들의 열정이 고스란히 담긴 곳입니다. 요즘처럼 인공사료와 속성양식이 흔한 시대에 황토를 이용한 전통 방식으로 메기를 키우는 건 쉽지 않은 일입니다. 하지만 이곳의 메기는 흙내가 적고 살이 쫄깃해, 한 번 맛본 사람들은 “이 맛은 다른 곳에서 못 찾는다”고 말하는데요.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KBS 한국인의 밥상 724회 방송에 소개된 의성 황토메기 위치와 회차정보를 정리해드릴게요.

 

 

한국인의밥상-의성-황토-메기-매운탕-택배-주문-724회-땅의-기운을-품다-황토의-맛-회차정보-재방송
▲ KBS 한국인의 밥상

 

한국인의 밥상 724회 업체 리스트 보기

 

한국인의 밥상 724회.

방송 속 업체 및 식당이 궁금하시다면 아래를 통해 확인해 보세요.

 

통영 구들 위치 어딘가요
통영 구들 위치 바로보기

 

무안 고구마 업체 어딘가요
무안 고구마 위치 바로보기

 

한국인의 밥상 724회 편성표 보러가기

 

아래에서는 한국인의 밥상 편성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네이버 편성 정보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따라서, 편성 정보 페이지에서 KBS 외에도 재방송을 확인하고 싶다면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네이버-편성정보-바로가기
▲ 네이버 편성정보 바로가기

 

한국인의밥상 의성 황토 메기 매운탕 택배 주문 724회 땅의 기운을 품다 황토의 맛 회차정보

 

경상북도 의성 외정리. 산으로 둘러싸인 황토 양어장에서 메기가 분수 물살을 헤치며 몰려든다.

이곳을 일군 주인공은 김동수(76) 씨와 아들 김명섭(49) 씨다.

아버지가 일군 자리를 아들이 이어받아 9만 마리의 메기를 키우고 있다. 전통과 현대를 잇는 부자의 손길에 황토가 힘을 더한다.

 

황톳물 덕에 메기는 흙내가 덜하고 살은 쫄깃하다는데, “물맛이 다르니 고기 맛도 다르더라”던 아버지의 생각은 결국 틀리지 않았더랬다. 아버지의 꿈을 잇고 더 크게 키워낸 아들의 도전. 하지만 물가의 삶은 늘 고단하다.

어머니 박화숙(74) 씨는 가업을 잇는 아들이 대견하면서도 양어장을 지키느라 가족과 떨어져 사는 모습이 늘 안쓰럽기만 하다. 아들만 안쓰러우랴.

 

대구에서 홀로 아이들을 키우는 며느리 심윤지(47) 씨를 떠올릴 때면 화숙 씨의 가슴 한편이 짠하게 저려온다. 첫 손주를 품에 안겨준 며느리에게 정성껏 끓여주었던 메기어탕은 지금도 가족의 밥상에 오르며 애틋한 추억을 되살린다. 한쪽에 그물을 치고 장대로 물을 두드리면, 9만 마리 메기가 출렁이며 몰려든다.

 

겨울을 앞두고 기름기와 단백질을 가득 채운 제철 메기는 얼큰한 어탕으로, 구수한 불고기로, 담백한 구이로 변신한다. 쇠비름나물과 곁들인 황토메기 덮밥은 새로운 별미로 밥상을 풍성하게 만든다. 세월을 견뎌온 아버지의 노하우와 새로운 길을 찾는 아들의 아이디어. 황토는 두 세대를 잇는 매개가 되어 오늘도 의성의 밥상을 든든히 채운다.

 

 

상호명
의성마늘황토메기 영어조합
주소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외정길 110-7
문의
0507-1496-7083
 
영업시간
오전 9시 ~ 오후 6시
※ 매주 토/일 정기휴무
 
황토메기 판매처
방송에 소개된 이곳은 의성마늘 황토메기 스마트스토어 에서 직접 구매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역이 멀다면 쉽게 찾아가기 힘드실텐데요.
온라인으로도 판매되고 있으니 아래 홈페이지를 통해 한번 둘러보세요.

 

 

의성마늘황토메기-홈페이지-바로가기
의성마늘황토메기 홈페이지 바로가기

 

끝으로, 한국인의 밥상 724회 땅의 기운을 품다 황토의 맛 회차정보와 방송에 소개된 의성 황토 메기 파는곳을 정리해드렸어요. 자연의 품 안에서 자란 메기의 진한 맛과 그 속에 담긴 가족의 세월이 다시 한 번 생각나게 하는 시간이었습니다.

 

※ KBS 한국인의 밥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반응형